<Todays To Do’s>
주제: (한동대)분실물 서비스 프로젝트 문제 정의 및 분석
1. 문제 정의
-
분실물 서비스 개선 방안 접근 결정 | [프로젝트의 성향| 개발 < 스터디**]**
- 온라인+오프라인 | 2가지 방향성 모두 고려하여 개선 방안 스터디 및 적용 방법 연구.
-
분실물 서비스 문제 파악
문제 |
비고 |
1. 분실물 보관 장소 관리 부실 |
보관 기간, 물건 관리 상태 등… |
|
|
- 분실물 보관 장소의 분산 | 1. 분실자가 일일이 건물별 보관소 장소 방문
- 유실물 제출 장소 모호 (유실물 처리 주저) |
| 3. 분실물 정보 확인 매체의 분산 | 1. <중복>유실물 알림 번거로움.
- <이용자 수 제한 >오픈채팅방 수용 인원 제한 |
| 4. 카드 분실 시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| 1. < 이름, 학번, 사진, 카드 번호> 유출되는 상황
- < 반환 여부 확인 불가| 신뢰, 투명성 모호 > |
| 5. 분실물 서비스 운영(주체, 정책) 체계가 불명확 | 1. 분실물 보관 기한, 담당자의 분실물 서비스 메뉴얼 부재, 주체
(분실 → 도난, 개인정보 도용, 등 범죄 발생 대응 체제) |
-
파악한 ‘문제’에 대한 해결 사례
사례 : [이화여대, 건국대, appalachian univ]
<aside>
📌 ‘해결 문제’의 번호는 [2. 분실물 서비스 문제 파악] 표를 기준으로 함.
- 이화여대 | [1, 2, 3, 4, 5] solution
특징 | <중앙 분실/유실 센터 존재 O | 주차별 분실 목록, 보관기한 경과 물품 list >
해결 문제 |
참조 위치 |
|
1, 4번 |
['분실물/습득물 처리 운영지침'] |
|
2, 5번 |
['분실물/습득물'] |
|
3번 |
['분실물/습득물 확인 안내' |
(주차별 게시글, 기한초과 물품 공지 )] |
- **건국대** | [1, 2, 5] solution
특징 | <중앙 분실/유실 센터 존재 O |유실물 접수, 회수 방침>
해결 문제 |
참조 위치 |
1, 2번 |
['통합 안내' |
- appalachian univ | [3] solution
특징 | <분실물 정보 조회 서비스(web, app)>운영
해결 문제 |
참조 위치 |
3번 |
'background', 'User Feedback', 'Conclusion' |
</aside> |
|
- Action Items
- [x] 노션 개편 @재은
- [x] 오늘 회의록 정리 @한성
<Next To Do’s>
- [ ] 문제 우선 순위 정하기(most, least) | SMART기법을 이용
- [ ] 해결 방안 기획
2. AAR(After Action Review)
<aside>
📌 AAR이란? 달성한 목표에 대한 성과를 피드백하는 것이다.
성장을 측정하려면 결과가 있어야 한다.
성장을 못했다면 (1) 목표 자체가 없었거나 (2) 실행을 못한 것이다.
</aside>
|
After Action Review |
1. 얻고자 하는 것은? |
프로젝트의 진행에 앞서 ‘집중할 문제 정의’를 팀원들과 공유 |
2. 얻은 것은? |
1. 한동대의 분실물 서비스에 대한 5가지 (온-오)프라인 문제 요소를 파악 |
- 선행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다른 학교의 사례 조사
- 프로젝트의 주체 | 학교 측에서 운영해야 하는 이유 |
| 3. 차이와 원인 | 원인: 문제해결의 시점을 편향 하여 사고.
알게된 점 : <분실물 관리>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재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(on,off)line 서비스의 양쪽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. |
| 4, 계속해야 할 것 | 프로젝트의 방향과 지향점을 공유하는 활동. |
| 5. 하지 말아야 할 것 | 프로젝트의 성향이 <수업, 과제>와 같은 학업 활동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
[회의시간] 집중할 수 있는 논제, 과업 강도 조절하기. |
3. 바라는 점